Public Cloud/AWS

[ AWS ] VPC와 Subnet

공기반 코딩반 2023. 1. 11. 11:05
반응형

VPC

- 가상으로 존재하는 데이터 센터

- 원래는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음.

- 외부에 격리된 네트워크 컨테이너 구성

- EC2, RDS, Lanbda 등 서비스 실행

 

 

Subnet

- 가용영역(AZ) 안에 하나의 서브넷이 위치

- CIDR block range로 IP주소 지정

- AWS 서브넷 IP주소 갯수

ex) 10.0.0.0/24 --> 네트워크 어드레스, VPC router, DNS server, 1개 여유, broadcast address 제외

 ==> 사용 가능한 ip개수 = 2^8 - 5 = 251개

 

public subnet: IGW를 통해 외부 인터넷과 연결

private subnet: DB, 로직 서버 등 외부에 노출될 필요 없는 인프라

 

 

 

Internet Gateway

VPC가 외부의 인터넷과 통신하도록 경로를 만들어 줌.

Route Table에서 경로 설정 후 접근 가능함.

 

 

 

Route Table

- ip가 어디로 갈지 참조

- subnet끼리 통신할 수 있게 함.

ex) 10.0.0.0/24 --> 10.0.1.0/24  어떻게 가야지? ==> route table에 적힌 local(10.0.0.0/16)으로 이동

 

반응형

'Public Cloud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WS -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  (0) 2023.01.16
[ AWS ] ENI / VPC flow  (0) 2023.01.12
[ AWS ] IAM  (0) 2023.01.11
AWS NAT Gateway / Bastion Host  (0) 2023.01.11
AWS 보안 그룹  (0) 2023.01.11